Cultural Heritage
since 2010

무성서원,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무성서원은 1615년 건립되었다.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원 건립을 주도했던 사림들이 활동하였던 마을 인근에 입지하고 있다. 무성서원은 다른 서원과 달리 자연 경관보다는 서원의 제향인물들이 활동하던 지역 인근에 입지한 특징을 보여준다. 

무성서원은 전라북도 사림 활동의 거점이자 지방 교육과 교화를 지향하는 한국 서원의 특징을 보여주면서 지역화와 그 정착, 발전 단계를 보여준다. 또한 향약의 시행과 20세기 초 항일의병의 근거지였다. 서원과 인접한 마을에 지역 사족활동의 다양한 유적들이 함께 남아 있다.

무성서원의 제향인물은 최치원(857-?), 정극인(1401-1481), 송세림(1479-?), 신잠(1491-1554), 정언충(1706-1772), 김약묵(1500-1558), 김권(1549-1622)이다. 이들 모두 정읍 지역 흥학과 관련된 사회활동을 한 관료와 지역 사림이다. 이들은 향촌교육과 연계되어 성리학의 가치를 보급하고, 학문을 권장한 인물들로 이들을 제향인물로 선정하는 것은 성리학의 사회 교화와 실천을 실현한 모범 사례로서 가치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른 서원들이 제향인물을 지역사회의 강학활동과 성리학 연구를 중심으로 선정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무성서원은 지역 전통 의례와 결합되어 제향 의례 전에 서원 입구에서 서원 경내의 건물 마당을 거쳐 제향공간까지 황토를 뿌리는 특이한 사례가 주목된다. 황토흙의 길을 만드는 것은 이 서원의 특징인데, 선현께 올리는 신로와 제물을 신성시하여 일체의 사사로운 기운이 범접하지 못하게 한다는 벽사의 의미를 가진다. 무성서원은 현재까지 지역 주민과 서원 구성원들에 의해 제향의례가 시행되고 있다.

무성서원은 성리학이 사림을 중심으로 기층민까지 영향을 주는데 있어 서원의 역할을 보여준다. 무성서원은 지역의 교육, 흥학 전통을 토대로 건립된 사례로 서원이 가진 기능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대표한다. 무성서원은 사림들의 흥학당을 기원으로 하며 이후 흥학을 주도한 사림들을 기리는 사우로 발전하였고, 이것이 서원 건립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성리학의 사회전파와 관련하여 사림활동 중 가장 대표되는 것은 지역 자치규약인 향약이다. 무성서원은 인근지역 향약의 거점으로 기능하면서 지역민 결집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향약과 관련성이 높은 무성서원의 특성은 강학 의례에도 반영되어 향약 의례의 하나인 향음주례(鄕飮酒禮) 등이 포함되어 있다. 지역 사회 결집 역할은 20세기 초 일본의 식민지배에 항거하는 병오창의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이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들을 기념하기 위하여 무성서원에는 병오창의기념비가 있으며, 정기적으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무성서원은 19세기말까지 훼철되지 않고 운영된 전라북도의 유일한 서원이다.

서원의 사회적 기능이 확대된 것은 서원의 입지와 건축 구성에도 영향을 끼쳐 마을에 포함된 건물로서 입지하였고 서원 건축물들도 마을을 항해 열린 공간으로 구성되어 서원 영역 전체를 관통한다. 무성서원 인근에는 지역의 사림들과 관련된 문화유산으로 정자와 사우들이 존재한다. 무성서원 입지의 특성은 신청유산 중에서 예외적이면서도 특이한 사례이다.

무성서원 주위에는 지역 성리학자들과의 연계성이 있는 누마루와 사우들이 존재하며, 사액 현판을 비롯하여 학규, 제향인물과 관련된 사건 등을 알 수 있는 기록물들이 보존되어 있다. 

무성서원의 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제향시설은 사우 태산사가 있다. 강학시설은 강당 명륜당과 재사 강수재가 있다. 강수재는 다른 서원과 달리 강당 앞마당 좌우에 있지 않고 별도로 조성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교류 및 유식시설로는 현가루가 있다. 이 외에 무성서원에는 서원과 관련된 다수의 기념비들이 서원 내외부에 분산되어 세워져 있다. 

무성서원의 재사인 강수재 앞에는 기념비 하나가 서있다. 이 비는 1906년 일본의 식민지배에 저항하는 의병활동을 기념하는 비석이다. 최익현과 임병찬이 중심이 된 의병창의는 무성서원의 강회와 유림 동원력, 대표성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무성서원의 정신사적 위상과 지성사적 전통을 보여준다. 무성서원에서는 해마다 병오창의를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하여 이를 기념하고 정신적으로 계승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무성서원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해 있다. 1615년 최치원과 지역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한 신잠을 기리기 위해 지역 사림들에 의해 건립되었다. 1630년에 정극인과 송세림을 추가 배향하였다. 1675년에 정언충, 김약묵, 김관을 추가 배향하여 현재 모두 7명을 배향하고 있다. 

무성서원이 마을 가운데 입지한 이유는 제향 인물들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 제향 인물들은 현재의 서원 터에서 흥학당을 건립하여 후진양성과 향약보급에 힘썼으며, 이후 이들을 기리기 위한 사우를 함께 건립함에 따라 무성서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다른 서원들과 달리 무성서원은 마을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었다. ‘무성’으로 사액된 1696년 이후 무성서원은 전라북도의 대표적 서원으로 강학과 제향활동을 활발하게 지속하였다. 건물에 대한 보수는 수시로 있어 왔다. 1828년에는 지방관 및 지역 사림들의 지원을 통해 대대적인 재건이 이루어졌다. 1891년 현가루(絃歌樓) 건립, 1887년에는 강수재(講修齋)를 건립하여 서원의 규모를 점차 확대하였다. 

무성서원은 1871년 국가의 서원 정비 정책에도 불구하고 존속된 전라북도의 유일한 서원으로서 19세기 지역 여론의 중심지로 기능하였다. 1884년 간행된 '무성서원지'에는 서원의 강의와 제향의례, 정기 모임과 관련된 절차들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1906년에는 무성서원에서 일본의 식민지배에 반발한 병오창의가 거병하였다.

1904년과 1917년에는 무성서원 전반에 수리가 이어졌고, 이후에도 사우, 현가루, 강수재 등을 수리하였다. 1968년 사적으로 지정되어 문화재 보호법에 근거하여 보호 관리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에도 강수재, 비각, 사우, 강당, 현가루 등 지속적인 수리가 이루어졌다. 정극인에 의해 시행된 고현동향약은 1993년 보물 제1181호로 지정되었다.


Superb View
landscape
HUMAN NATURE